함백산 만항재
2011. 08. 06
함백산 만항재
오늘이 만항재 야생화축제 마지막날이다
올해 같은 긴장마와 폭우가 없는듯 하다.
만항재에 도착하니 비는 오지 않았지만
산은 운무로 덮여있다.
맑고 청량한 공기와 바람으로 더위를 모르겠다.
함백산 오르는 길에 간간히 빗방울이 떨어진다.
카메라 보호에 신경이 쓰인다.
나리종류는 말나리밖에 없고
동자꽃과 둥근이질풀이 만개상태이다.
<둥근이질풀>
<말나리>
말나리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외떡잎식물
목 백합목
분포지역 한국, 중국 북동부, 헤이룽강, 사할린섬, 캄차카반도 등지
서식장소/자생지 높은 지대
크기 높이 약 80cm
본문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높이 약 80cm이다.
지름 2∼2.5cm의 둥근 비늘줄기에서 원줄기가 1개씩 나와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는 것과 돌려나는 것이 함께 돋는다.
줄기 중간의 잎은 돌려나며 4∼9개씩 달리지만 10∼20개 달리는 것도 있으며
길이 약 15cm, 나비 2∼3cm로서 타원형이거나 바소꼴이다.
줄기 위쪽의 잎은 어긋나며 바소꼴이고 돌려난 잎보다 작다.
6∼7월에 1∼10개의 노란빛을 띤 빨간 꽃이 옆을 향하여 피며,
안쪽에 짙은 갈색이 섞인 자줏빛 반점이 있다.
꽃 지름 5cm 정도이며 화피는 바소 모양으로서 6장이다.
수술은 6개, 암술 1개로 화피보다 짧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처럼 생긴 타원형이며 3개의 능선이 있다. 길이 1.5∼2cm이며 10월에 익는다.
비늘줄기와 줄기, 어린 잎을 식용하며 꽃은 관상용으로 쓴다.
한국, 중국 북동부, 헤이룽강, 사할린섬, 캄차카반도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말나리 | 네이버 백과사전
<산솜방망이>
산솜방망이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초롱꽃목
분포지역 한국(제주·강원)·일본·우수리강·헤이룽강·몽골·동시베리아
서식장소/자생지 높은 산 양지바른 곳
크기 높이 15∼45cm
본문
두메솜방망이라고도 한다. 높은 산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 높이 15∼45cm이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짧다. 줄기는 곧게 서고 능선이 있으며 잔털과 거미줄 같은 털이 빽빽이 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긴 타원 모양이고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 아랫부분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길이 8∼9cm, 나비 2.3∼2.5cm이다.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앞·뒷면에 잔털과 거미줄 같은 털이 나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잎 밑동이 줄기를 감싸고 위쪽으로 갈수록 잎이 작아진다.
꽃은 7∼8월에 붉은빛을 띤 노랑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 지름 30∼32mm의 꽃이 2∼7송이씩 우산 모양으로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1.5∼3cm이며 아랫부분에 줄 모양의 포가 있다.
총포는 잔처럼 생겼고 포조각은 1줄로 늘어선다.
열매는 긴 타원 모양 수과로서 길이 2.5∼3mm이고 10월에 익는다.
관모는 흰색이며 길이 약 5.5mm이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제주도·강원도)·일본·우수리강·헤이룽강·몽골·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출처] 산솜방망이 [山─ ] | 네이버 백과사전
<동자꽃>
<여로>
<새며느리밥풀꽃>
<잔대>
<모시대>
모시대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길며
난상 심장형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눈빛승마>
눈빛승마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속에서 자라며, 여름에 원추꽃차례로 흰색의 꽃이 달린다.
<노루삼열매>
<층층이꽃>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모여서 층층으로 피므로 층층이꽃이라고 한다.
<긴산꼬리풀>
<구릿대>
<노루오줌>
<자주꽃방망이>
<만항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