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앵초
큰앵초
2012. 05. 20
설매재
요즘 산에는 산나물꾼들로 북적된다.
산나물 채취금지라는 표지판이 무색하다.
그냥두면 아름다운 꽃들이 만발할텐데
어린순을 어김없이 잘라간다.
지금은 시기가 약간 지났지만
앵초도 그런것들 중에 속한다.
그래도 여기 저기 많이 남아있다.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한창 성장하고 있는 모시대
좋은 나물이라고 모두 잘라간다.
그냥 두면 올 가을에 꽃을 보러올텐데
꺾지말라고 할 수도 없고...
큰앵초 [─櫻草, primrose ]
깊은 산 속의 나무 그늘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없고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잎자루는 길며 비스듬히 선다.
잎몸은 둥글며 밑 부분이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7∼9개로 갈라지며 잔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1∼4층을 이루며
각 층에 5∼6개가 달린다.
꽃줄기는 높이가 20∼40cm이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으며
잎이 달리지 않는다.
작은꽃자루는 길이가 1∼2cm이고, 포는 넓은 줄 모양이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진다.
화관은 지름이 1.5∼2.5cm이고 통 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며 통 부분보다 짧다.
열매는 삭과이고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길이가 7∼12mm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앵초근(櫻草根)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수·가래·천식에 효과가 있다.
한국·일본에 분포한다.
꽃줄기와 잎자루에 긴 털이 많은 것을 털큰앵초(var. pubescens)라고 한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