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쇠물닭

살구나무꽃 2022. 1. 28. 13:23

쇠물닭

 

12. 07. 28  관곡지

 

학명 Gallinula chloropus
생물학적 분류  : 동물계(Animalia)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강(Aves)
 : 두루미목(Gruiformes)
 : 뜸부기과(Rallidae)
 : Gallinula
식성 물풀, 곤충, 머루
분포정보 분포지 : 뉴질랜드와 호주를 제외한 전 세계

여름철새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는 동일하다.

앞 아미와 부리는 붉은색을 띠며 부리 끝의 옆은 노란색이다.
양쪽 옆구리에는 옆으로 흰색 박점이 배열되어 있고 아래 꼬리덮깃의 양 허리 쪽은 커다란 흰색의 띠가 있다. 

저수지나 호수 등에서 물풀이나 작은 곤충이나 머루 등을 먹는다. 우리나라에는 5월경에 찾아와 번식하는 여름철새다.

 

알을 낳는 시기는 5월 중순에서 8월 상순이며 한 둥지에 보통 5∼8개에서 많게는 12~15개까지 낳는데, 이는 둥지 하나에 여러 마리의 암컷이 알을 낳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은 암수 함께 품고 품는 기간은 19∼22일이다.

 

<부화 하자마자 둥지를 떠나는 조성성 조류>

대부분 산림에서 번식하는 조류는 부화 후 어미가 먹이를 물어다 주어 새끼를 기른다. 그러나 꿩과의 조류와 습지에 번식하는 물새의 경우, 부화 후 바로 새끼가 둥지를 떠나 어미를 따라다니며 먹이를 먹는 조류가 많은데, 이를 ‘조성성 조류’라고 한다. 쇠물닭, 물닭, 두루미류, 도요류, 오리류 등이 대표적인 종류이다.

<성조>

 

 

<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