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왕숙천의 조류(22. 01. 29)

살구나무꽃 2022. 1. 30. 21:29

왕숙천의 조류

 

22. 01. 29

 

겨울철 물새들은 여러 종이 모여서 먹이활동도 하고

쉬기도 한다.

-. 쇄백로와 대백로

 

-. 쇠백로, 대백로, 청둥오리, 비오리가 함께 모여 먹이활동을 하고 있다.

 

-. 대백로, 왜가리, 쇠백로, 논병아리, 물닭. 물닭이 잠수한 흔적이 나타나고 있다.

 

 

 

<왜가리와 대백로>

바람에 나무끼는 대백로의 날개깃이 힘차고 멋있다.

대백로의 착지

-. 왜가리와 대백로

 

 

<검은등할미새>

흔하지는 않다.

 

 

<까마귀>

까마귀들이 물을 찾았다.

보기 드문 현상이다.

물도 먹고 목욕을 하고 있다.

 

아무리 까만 까마귀라도 목욕은 하는 모양이다.

씻어도 검고, 안 씻어도 검은데...

 

 

0
-. 까마귀 목욕

 

 

<까마귀와 백로>

 

 

 

 

<논병아리>

 

 

 

 

<대백로>

-. 목을 쭉 뻗으니 엄청 길다.

 

 

 

<물닭>

-. 수초를 먹고 있다.

 

물살이 약간 있는 얕은 곳이다. 수면성 오리처럼 머리만 물속에 들어 있다. 잠수도 잘 한다.

-. 물살이 약간 빠른 경사진 곳이다. 물이 얕아 머리만 박고 먹이활동을 한다.

 

-. 잠수한 상태

 

물살을 거슬로 올라가기가 쉽지 않아 날개를 이용하고 있다.

-. 경사진 곳의 물살을 이기려 달려가고 있다.

 

 

 

<민물가마우지의 착륙>

매끄럽지는 않다.

 

 

 

<민물가마우지의 이륙>

 

 

<민물가마우지의 경계>

잠수를 한 다음에 돌위에 올라 가더니 바로 날개를 말리지 않고 주변을 한참 경계를 한 다음 안전함을 확인 후에

날개를 펼쳐 말리고 있다.

 

 

 

<백할미새>

물에 들어가기 싫어 날아서 건넌다.

 

 

<비오리>

 

 

 

<쇠백로>

백로 중에서 가장 작아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특히 발가락이 노랗다.

 

 

 

<쇠오리>

오리중에서 가장 작다.

 

 

 

 

<참새>

 

 

<청둥오리>

-. 몸에 기름을 바르고 있다.

 

-. 청둥오리는 잠수를 하지 않고 머리만 물속에 넣고 먹이활동을 한다.

 

 

<흰뺨검둥오리>

수면성 오리지만 머리를 물속에 넣는 모습은 보지 못했다.

-. 수초를 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