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숙천의 식물
16. 04. 27 ( 20. 07. 19 ) ( 20. 09. 20 왕숙천 )
0. 가시박 :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귀화된 귀화식물이다.
0. 단풍잎돼지풀 :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미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이다.
0. 돼지풀 : 북아메리카가 원산으로 1968년에 처음으로 알려지고 6·25동란후 들어온 귀화식물이다.
0. 붉은토끼풀 : 유럽원산
0. 가시상추 : 유럽 원산으로, 한국에는 1990년대 이후 수입농산물에 섞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0. 개망초 : 북아메리카원산. 망초는 우리나라에서 맨 처음 철도가 건설될 때 사용되는 철도침목을
미국에서 수입해 올 때 함께 묻어 온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왕숙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의 강변은 온통 외래종 천국이다.
외래종 종합전시장 같다.
16. 04. 27
<가는잎쐐기풀>
<개소시랑개비>
<꽃양귀비>
<말냉이>
<물쑥>
<벚나무>
<산조팝나무>
<살갈퀴>
<쑥>
쑥의 생명력은 대단하다.
<씀바귀>
<일본목련>
20. 07. 19 왕숙천
-. 가시박과 환삼덩굴
가시박
-. 단풍잎돼지풀
-. 돼지풀
-. 붉은토끼풀
-. 가시상추
-. 개망초
-. 금불초
<벌노랑이>
<부처꽃>
<미국실새삼>
흰색. 꽃자루 짧다.
화관이 수평으로 벌어짐(뒤로 넘어진다.)
꽃잎 끝이 날카롭다.
<자귀풀>
작은잎은 20∼30쌍으로 줄 모양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이 사방으로 향한다.(차풀은 잎이 한 방향으로 향한다.)
<차풀>
<가는잎쐐기풀>
<갈대>
<억새>
<강아지풀>
<망초>
<달맞이꽃>
<며느리배꼽>
<붉나무>
<석잠풀>
<왕고들빼기>
<인디언국화>
<중국굴피나무>
<참나리>
<칡>
20. 09. 20 왕숙천
왕숙천1교 방향에서
<가을강아지풀>
<금강아지풀>
<깨풀>
<박하>
<사데풀>
<석잠풀>
<쇠무릎>
<유홍초>
<줄점팔랑나비와 메꽃>
<쥐방울덩굴 열매>
처음에 본 쥐방울덩굴은 관리인들이 모두 걷어내고 이곳만 남았다.
계속 살아남기를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