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식물 11

파래

파래 22. 06. 05 고흥 연홍도 녹조식물 갈파래과에 속하는 한 속 학명 : Enteromorpha 민물이 흘러들어오는 곳에서 잘 자라며, 조용한 조수웅덩이 따위에서 큰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양식용 김발에도 잘 착생하여 시중에서 팔리는 파래김의 주종을 이룬다. 파래는 향기가 많고 맛이 독특하여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즐겨 먹는 해산식물의 한 종류로서 단백질 20∼30 %, 무기염류 10∼15%, 비타민 500∼1,000IU를 포함하고 있는데 특히 알칼리성 원소가 많은 주요 무기질 식품이다. 한국에는 창자파래(E. intestinalis)·납작파래(E. compressa)·잎파래(E. linza)·가시파래(E. prolifera)·격자파래(E. clathrata) 따위가 있다. 해안가가 완전히 파..

남도식물 2022.08.29

예덕나무

예덕나무 22. 06. 05 고흥 연홍도 학명 Mallotus japonicus (L.f.) Mull.Arg.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쥐손이풀목(Geraniales) 과 : 대극과(Euphorbiaceae) 속 : 예덕나무속(Mallotus) 개화기 6월~7월 꽃색 노란색 형태 낙엽 활엽 소교목 크기 높이 10m 나무껍질에 타닌과 쓴 물질이 들어 있어 건위제로 이용하고, 민간에서는 잎을 치질과 종처에 바른다. 자료가 많이 부족하다.

남도식물 2022.08.29

아왜나무

아왜나무 22. 06. 05 고흥 연홍도 학명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K.Koch) Zabel ex Rumpler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산토끼꽃목(Dipsacales) 과 : 인동과(Caprifoliaceae) 속 : 산분꽃나무속(Viburnum) 개화기 6월~7월 꽃색 분홍색, 백색. 원추꽃차례 형태 상록 활엽 교목 크기 높이 10m 바닷가 산기슭에서 자란다. 어린 가지는 붉은빛을 띠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달리고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10∼15cm, 나비 4∼8cm이다.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서 길이 약 1cm이고 9∼10월에 붉은색에서 검은빛으로 익는다. 불에 잘 타..

남도식물 2022.08.29

멀구슬나무

멀구슬나무 22. 06. 05 고흥 학명 Melia azedarach L.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쥐손이풀목(Geraniales) 과 : 멀구슬나무과(Meliaceae) 속 : 멀구슬나무속(Melia) 개화기 5월~6월 꽃색 보라색 형태 낙엽 활엽 교목 크기 높이 15m 잎은 어긋나고 기수 2∼3회 깃꼴겹잎(羽狀複葉)으로 잎자루의 밑부분이 굵다. 꽃은 5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원추꽃차례[圓錐花序]에 달린다. 열매는 9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겨울에도 달려 있다. 열매는 이뇨 ·하열 및 구충제로 사용한다.

남도식물 2022.08.25

마삭줄

마삭줄 22. 06. 05 고흥 ( 23. 03. 08 군산 장자도) 학명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 Zucc.) Nakai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용담목(Gentianales) 과 : 협죽도과(Apocynaceae) 속 : 마삭줄속(Trachelospermum) 개화기 5월~6월 꽃색 노란색, 백색 형태 상록 활엽 덩굴성 크기 길이 5m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 달걀형 꽃은 6월 초-7월 말에 피고 지름 2-3cm로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산지 숲 가장자리나 숲 속 습기가 있는 곳의 바위나, 큰 나무줄기에 칭칭 동여맨 듯 부착되어 있다. 줄기와 잎은 약용으로서 해열, 강..

남도식물 2022.08.25

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 22. 06. 05 고흥 학명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장미목(Rosales) 과 : 장미과(Rosaceae) 속 : 다정큼나무속(Raphiolepis_오류) 개화기 4월~6월 꽃색 갈색, 백색 형태 상록 활엽 관목 크기 높이 2~4m 잎은 어긋나기하며 가지 끝에서 모여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다. 꽃은 4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뿔모양꽃차례는 가지 끝에 생긴다. 열매는 광택이 나며 검은색으로 7-8월에 성숙한다. 나무 껍질과 뿌리는 생사(生絲)를 염색하는 데 쓰인다. 민간에서는 잎·가지·뿌리를 각종 통증이나 타박상에 ..

남도식물 2022.08.25

홍가시나무

홍가시나무 22. 06. 05 고흥 학명 Photinia glabra (Thunb.) Maxim.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장미목(Rosales) 과 : 장미과(Rosaceae) 속 : 홍가시나무속(Photinia) 개화기 5월~6월 꽃색 백색 형태 상록 활엽 소교목 크기 높이 3~10m 잎이 새로 나올 때와 단풍이 들 때 붉은 빛이 돌기 때문에 홍가시나무라고 한다. 잎은 호생한다. 열매는 붉게 익는다. 일본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남도식물 2022.08.25

정금나무

정금나무 22. 06. 05 고흥 학명 Vaccinium oldhamii Miq.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진달래목(Ericales) 과 : 진달래과(Ericaceae) 속 : 산앵도나무속(Vaccinium) 개화기 6월~7월 꽃색 갈색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2~3m 종가리나무라고도 한다. 꽃과 가을에 붉은 색으로 물드는 단풍, 열매의 아름다움은 관상가치가 높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형이고, 톱니 끝이 샘털상이며, 어린잎은 붉은빛이 돈다. 꽃은 연한 붉은빛을 띤 갈색이며 총상꽃차례로 밑을 향하여 달린다. 열매는 검은갈색으로 익으며 흰가루로 덮여 있다. 열매는 신맛이 있으며 먹을 수 있다. 내한성과 내건..

남도식물 2022.08.25

말오줌때

말오줌때 22. 06. 05 고흥 학명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노박덩굴목(Celastrales) 과 : 고추나무과(Staphyleaceae) 속 : 말오줌때속(Euscaphis) 개화기 5월 꽃색 녹색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5~6m 칠선주나무·나도딱총나무라고도 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홀수 1회 깃털겹잎이고, 소엽은 5-11개로 달걀형.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톱니가 있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8∼9월에 익는데, 붉은빛이 돌고 안쪽은 연한 붉은색이다. 종자는 검은빛이며 윤기가 있고 둥글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남도식물 2022.08.25

가시나무

가시나무 22. 06. 05 고흥 학명 : Quercus myrsinifolia Blume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참나무목(Fagales) 과 : 참나무과(Fagaceae) 속 : 참나무속(Quercus) 상록 활엽 교목 개화 : 4~5월 암수한 그루. 수꽃차례 전년도의 가지에서 밑으로 처지며, 암꽃차례 새가지에서 곧추섬 심, 변재 모두 황갈색 또는 홍갈색으로 심, 변재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잎은 호생 중부지방에는 낙엽지는 참나무 종류가 6종이 있다.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이다. 남부지방에는 상록 참나무가 있다. 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졸가시나무가 있다.

남도식물 20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