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어리
21. 03. 26 축령산
학명생물학적 분류개화기꽃색형태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T.Yamaz. |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장미목(Rosales) 과 : 조록나무과(Hamamelidaceae) 속 : 히어리속(Corylopsis) |
3월~4월 |
노란색 |
낙엽 활엽 관목 |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을 먼저 피우는 한국 특산종
꾸준한 자생지 보전과 현지내 복원, 서식지외보전기관 등의 다양한 종보전 노력으로
2012년에 멸종위기종에서 해제된 종이며,
외국으로 나가기 위해선 허가를 받아야하는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이다.
예로부터 조선납판화, 송광꽃나무, 송광납판화, 납판나무라고도 불리었으며
최근에 관상용, 조경용으로 많이 심어 가꾸고 있다.
송광이란 조계산 송광사가 있는 곳에서 이 나무가 발견되어 불리우고
납판화는 꽃잎이 밀납같다는 말인데 두터워 보이는 꽃잎이 그리 보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송광꽃나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북한에서는 그 곳에 자라지는 않지만 납판나무라고 부른다.
히어리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되어 특산식물임이 알려지게 된 것은 일본인 식물학자인 우에키에 의해서였다.
히어리는 관상적 가치가 아주 뛰어나다는 것 말고는 아직 특별한 용도가 개발되지 않고 있다.
중국의 중서부 지방에 히어리와 비슷한 나무로 히어리보다 꽃이 좀 더 길게 느러지고
가지는 바로 서는 중국히어리가 있고,
일본에는 도사물나무라는 일본히어리도 있다.
히어리는 관상적 가치가 아주 뛰어나다는 것 말고는 아직 특별한 용도가 개발되지 않고 있다.
중국의 중서부 지방에 히어리와 비슷한 나무로
히어리보다 꽃이 좀 더 길게 느러지고 가지는 바로 서는 중국히어리가 있고,
일본에는 도사물나무라는 일본히어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