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 및 일반

왕숙천210908

살구나무꽃 2021. 9. 14. 10:49

왕숙천

 

21. 09. 08

 

가을 하늘이 무척 맑다.

왕숙천 왕숙천1교 아랫부분에 쥐방울덩굴과 꼬리명주나비를 관찰하기 위해 자주 찾고 있다.

-. 비가 온 다음이라 하늘도 맑고 시멘트에 물이 고여 반영이 예쁘게 나온다. 아파트는 다산2동 신도시이다.

 

<토평교>

 

<물방울>

물방울이 햇빛에 영롱하게 반짝인다.

 

 

<가는잎왕고들빼기>

 

 

<갈대꽃>

갈대꽃이 이제 막 나오고 있다.

 

-. 엉켜 있는 모습이 신기하기만 하다.

 

 

<개오동>

식재가 아니라 자연적으로 이곳에 자란것 같다.

 

 

<계요등>

쌍떡잎식물 용담목 꼭두서니과의 낙엽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추위에는 약하지만 건조한 환경을 잘 견디고 바닷가 해풍에도 강하다.

지구온난화 덕분에 수도권에서도 많이 자란다.

 

계요등(鷄尿藤)은 식물체에서 닭의 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이름인 계시등(鷄屎藤)도 닭똥 냄새가 나는 덩굴이라는 뜻이고,

일본 이름인 헥소가주라[屁糞葛]도 마찬가지이다.

한방에서는 열매와 뿌리를 말려서 관절염이나 각종 염증 치료약으로 쓰기도 한다.

 

 

 

<달맞이꽃>

 

 

<닭의장풀>

 

 

<며늘리배꼽>

 

 

<물방동사니>

 

<미국가막사리>

 

 

<배롱나무>

꽃이 100일 동안 피는 초본 식물이 백일홍이 있는데

나무꽃이 100일 동안 핀다고 목백일홍이라고도 부른다.

6월부터 여름 내내 꽃이 피고지기를 반복한다.

 

 

<갈퀴나물>

 

 

<애기나팔꽃>

 

 

<익모초 益母草>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익모(益母)란 부인에게 유익하여 눈을 밝게 해주고 정력을 더하여 준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이 풀의 농축액을 익모초고(益母草膏)라고 하는데, 혈압강하·이뇨·진정·진통 작용이 있다고 한다.

 

꽃이 핀 꽃대를 만져보면 갈라진 포 때문에 아주 따갑다. 조심해야 한다.

 

<멍석딸기>

주변에 나무가 없어 땅바닥을 기어가고 있다.

 

 

<쥐꼬리망초>

 

 

<쥐방울덩굴>

제초작업 후 다시 자란난 쥐방울덩굴이다.

 

 

<환삼덩굴>

수꽃

 

<환삼덩굴>

암꽃

 

 

 

 

 

 

'풍경 및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리한강시민공원210921  (0) 2021.09.23
하남 당정뜰210922  (0) 2021.09.23
아침고요수목원210905  (0) 2021.09.14
황금산210904  (0) 2021.09.14
다산생태공원210829  (0) 2021.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