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한강의 겨울새(큰고니, 거위, 물닭, 대백로, 왜가리, 백할미새, 검은등할미새, 알락할미새)

살구나무꽃 2023. 1. 15. 21:14

한강의 겨울새(큰고니, 거위, 물닭, 대백로, 백할미새, 검은등할미새, 알락할미새)

 

23. 01. 10  한강(한강 팔당대교 아래쪽 하남 산곡천과 만나는 지점)

 

1. 큰고니

 

이곳에는 개체수가 많지는 않다.

예년에는 좀더 아래쪽까지 있었는데, 올 해는 산곡천과 만나는 지점에 모두 모여 있다.

-. 청둥오리도 많이 있다.

 

 

 

2. 거위

학명 Anser anser
생물학적 분류  : 동물계(Animalia)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 기러기속(Anser)
 

오리과에 속하는 가금(家禽:집에서 기르는 날짐승).

원래 중국에서 개리를 가금화한 것으로 우리 나라에 언제 전래되었는지 불분명하다.

 

우리말로는 거유·게오·게우로 불리었으며, 한자로는 아(鵞)가 표준어로서 가안(家雁)·서안(舒雁)·가( 0x954e)·우군(右軍)·역(鶃)·역월(逆月)로도 불리었다. 

 

오곡과 피, 풀이나 채소만 먹으며, 살아 있는 벌레는 먹지 않는다. 식용과 약재로 쓰인다.

 

<거위 종류>

품종에는 유럽계와 중국계가 있다.

중국계는 개리를 개량한 것인데, 중국거위라고도 불리며 윗부리의 기부에 혹 모양의 돌기가 있어 유럽계와는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깃털은 흰색이 많으나 갈색 계통도 있다.

 

<활용>

고기를 얻기 위한 목적 외에 애완용 동물로 기르는 경우가 많은데, 낯선 사람을 보면 요란하게 울어대고 밤눈이 밝아 집 지키는 개 대신 훌륭한 파수꾼 노릇을 한다. 깃털은 이불 · 방한복 등에 쓰인다. 반드시 물에서 교미하므로 씨알을 얻기 위해서는 물이 있는 곳에서 길러야 한다.
 
 
<역사>

『오주연문장전산고』에 거위젓[鵞酢]을 만드는 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살찐 거위 두 마리를 뼈를 제거하고 깨끗한 고기로 5근을 잘게 썰어서 소금 3냥과 술 한 잔을 넣어 담그고 하룻밤을 지낸 뒤 간수를 제거한다.

이 때 파 4냥, 생강 2냥, 귤 1냥을 각각 채친 것과 후추 반 냥, 시라향(蒔蘿香)과 회향(茴香), 그리고 미나리 조금, 멥쌀로 만든 누룩가루 1홉, 술 반 근을 넣어 골고루 섞은 다음 물동이에 넣고 대껍질로 덮어서 진흙으로 봉해 두었다가 쓴다고 하였다.

 

『지봉유설(芝峯類說)』에는 “거위는 귀신을 놀라게 한다.”, “거위는 능히 도둑을 놀라게 하고, 또 능히 뱀을 물리친다.”고 인용, 기록하고 있으며, 그 똥은 뱀을 죽인다는 기록도 있다.

 

 

 

 

3. 물닭

 

 

4. 대백로

 

 

5. 왜가리

 

 

6. 백할미새

 

참새목 참새과의 조류.

검은 눈선과 하얀 바깥꽁지깃이 돋보인다.
이마에서 정수리까지가 흰색이다.
꼬리는 할미새류 중에서 가장 가늘고 길다.

 

먹이로는 곤충류(딱정벌레·파리··나비·잠자리·메뚜기·매미·날도래 등)와 거미를 잡아먹는다.

평지의 물길, 강가, 해안에서 산간 흐르는 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찾아오는 겨울철새이다.
 

 

이 멋진 녀석은 누구지? - 할미새의 거울공격

영국의 어느 마을의 주민들은 자신의 자동차 사이드 미러를 보호하려고 안간힘을 썼다. 왜냐하면 번식기를 맞은 수컷 할미새가 사이드 미러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고 경쟁자로 착각해 공격을 했기 때문이다. 수컷 할미새의 엄청난 공격에 사이드 미러는 새털이 잔뜩 묻거나 심지어는 깨지기도 했다. 할미새의 이러한 행동은 번식 시기 때 자신의 영역을 지키기 위한 행동이다.

영국의 한 학자의 말에 의하면, 일부 새들은 호르몬의 영향으로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적으로 착각할 수 있다고 한다. 할미새의 경우 이러한 행동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번식기가 되면 본능적으로 자신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다가 심할 경우에는 죽음을 맞이하는 개체도 있다.

 (국립중앙과학관 - 우리나라 텃새)

 

7. 검은등할미새

 

우리나라 물가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텃새이다.

다른 할미새류와 마찬가지로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고 공격을 한다.

 

 

8. 알락할미새

 

 

 

 

 

 

 

 

 

 

 

'조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숙천의 조류(23. 01. 23)  (0) 2023.01.25
민물가마우지  (0) 2023.01.24
경안천의 겨울 철새  (1) 2023.01.15
구파발천 조류  (0) 2022.10.06
되지빠귀  (0) 202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