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 및 일반

여주 신륵사와 영릉

살구나무꽃 2021. 3. 28. 20:45

여주 신륵사와 영릉

 

21. 03. 18

 

코로나로 인해 일상의 패턴이 사라진지 오래다.

모처럼의 외출로 여주 신륵사와 영릉을 택했다.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사찰.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고려 말인 1376년(우왕 2)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머물렀던 곳으로 유명한데,

200여 칸에 달하는 대찰이었다고 하며,

1472년(조선 성종 3)에는 영릉 원찰(英陵願刹)로 삼아 보은사(報恩寺)라고 불렀다.

신륵사로 부르게 된 유래는 몇 가지 설이 전해지고 있다.

그 하나는 “미륵(혜근을 가리킴)이, 또는 혜근이 신기한 굴레로 용마(龍馬)를 막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고려 고종 때 건너마을에서 용마가 나타나,

걷잡을 수 없이 사나우므로 사람들이 붙잡을 수가 없었는데,

이 때 인당대사(印塘大師)가 나서서 고삐를 잡자 말이 순해졌으므로,

신력(神力)으로 말을 제압하였다 하여 절 이름을 신륵사라고 했다”는 것이다.

 

 

<삼층석탑>

 

<구룡루>

 

<극락보전>

 

<법당 앞의 향나무>

 

 

<향나무>

멀리서 보아도 규모가 엄청 크다.

 

 

<주목나무 꽃>

 

<다층석탑>

 

 

<멧비둘기 둥지>

 

 

<제비꽃>

 

 

 

<영릉(英陵)>

 

조선 세종과 그 비 소헌 왕후의 능. 

당시의 경기도 광주,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던 것을 

예종 1년(1469)에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으로 옮겼다. 

근처에 위치한 영릉(寧陵)과 함께 사적 제19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일성정시의>

 

 

<자격루>

 

 

<앙부일구>

 

<영릉>

 

 

<새로 지은 재실>

 

 

<백송>

 

 

<좁쌀냉이>

 

<능이오리백숙>

'풍경 및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남 한강변의 벚꽃 외  (0) 2021.04.07
창덕궁, 후원, 창경궁  (0) 2021.03.29
축령산의 이른 봄  (0) 2021.03.28
인천대공원  (0) 2021.03.16
에버랜드  (0) 2021.02.26